본문 바로가기
임신과 태아랑 아가랑

고위험 산모 조산, 언제 인큐베이터에서 나오는지, 쌍둥이 최대 주수

by 한고양 2024. 12. 9.
반응형

여기에서는 조산의 정의에 대해 알고, 조산이 일어나는 이유, 조산 발병 대상, 조산 예방 방법, 그리고 조산시 인큐베이터에 어떨때 들어가고 언제 나올 수 있는지, 마지막으로 쌍둥이들의 자연분만을 고려하는 최대 주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조산이란?

조산은 임신 20주 이후부터 37주 이전에 분만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의미하며, 이는 예정일보다 3주 이상 일찍 출산하는 것을 말해요. 의학적으로 34주 이전의 분만은 ‘이른 조산’, 34~37주 사이의 분만은 ‘늦은 조산’으로 구분되요.
조산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국내에서는 출생아의 약 9%가 조산아로 태어난다고 합니다.

이는 고령 임산부 증가와 다태 임신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어요.

 

사진: pixabay

조산이 일어나는 이유

조산의 원인은 크게 조기 진통, 조기 양막 파수, 임신 관련 합병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조기 진통은 원인의 약 50%를 차지하며, 자궁 수축이 조기 발생하여 진행되는 경우입니다.

조기 양막 파수: 전체 원인의 약 30%를 차지하며, 태아를 보호하는 양막이 일찍 파열되는 상태입니다.

임신 관련 합병증임신중독증, 자궁 내 태아 발육 지연, 산모의 고혈압, 당뇨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기타 원인으로는 감염, 염증, 흡연, 약물 남용, 스트레스, 유전적 요인 등이 조산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조산 원인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볼게요

자궁 이상: 자궁 경부 손상, 자궁 기형(격막 자궁, 쌍각 자궁 등), 큰 자궁 근종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다태아 임신: 쌍둥이 이상 임신 시 조산율이 20%에 달합니다.

양수 과다증: 자궁이 과도하게 늘어나면서 조산 위험이 높아집니다.

감염: 세균성 질염, 클라미디아, B군 연쇄구균 등 감염이 조산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내외과 질환: 염증, 열성 질환, 신장염, 맹장염, 갑상선 질환 등이 조산 위험을 높입니다.

사회적 요인: 나이 많은 산모, 흡연, 낮은 경제적 여건, 과도한 육체노동이 영향을 미칩니다.

스트레스: 임신 말기 스트레스가 조산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태아 및 태반 이상: 태아 기형, 태반 조기 박리, 양막 파열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유산 및 재발: 과거 조산이나 중기 유산 경험이 있으면 조산 재발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 외에 원인 불명이 전체 조산의 2/3 이상을 차지한다고 해요.

 

조산 발병 대상

다음과 같은 산모는 조산의 고위험군에 속합니다

 

다태아 임신(쌍둥이 이상)

35세 이상 고령 산모 또는 지나치게 어린 산모

이전 임신에서 조산 경험이 있는 산모

임신중독증이나 자궁경부무력증 진단을 받은 경우

산모의 기저질환(고혈압, 당뇨, 신장질환 등)이 있는 경우

비만, 흡연, 스트레스가 높은 산모

조산 예방 방법

 

정기적인 산전 관리

정기적인 초음파 검사와 혈압, 소변 검사로 위험 신호를 조기에 발견합니다.

자궁경부 길이를 초음파로 측정하여 조산 위험성을 예측합니다.

약물 치료

베이비 아스피린: 임신중독증 고위험군에서 12~14주부터 복용 시 위험을 약 50% 감소.

프로게스테론 질정: 조산 과거력이 있는 산모에서 조산 재발 위험 감소 효과.

스테로이드: 태아 폐 성숙을 촉진해 조산아의 호흡기 합병증 위험 감소.

황산마그네슘: 뇌성마비 예방 효과.

수술적 치료

자궁경부가 짧아지거나 무력증이 의심될 경우 자궁경부봉축술을 시행합니다.

과거에 자궁경부 무력증으로 인해 조산한 산모에게 효과적입니다.

생활습관 개선

금연 및 건강 체중 유지: 비만과 흡연은 조산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스트레스 관리 및 규칙적인 운동으로 산모의 신체 건강을 유지합니다.

 

쌍둥이(다태아)의 자연분만 가능 시기

쌍둥이의 자연분만 가능 시기에 대해 궁금하신지요?

쌍둥이 임신에서는 자연분만을 고려할 수 있는 최적 시기는 37주 미만이에요.

그러나 많은 쌍둥이 임신의 경우 36주 전후에 분만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요.

  • 일반적으로 쌍둥이는 자연분만을 시도하기 전에 태아의 위치와 산모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해요.
  • 태아 중 하나가 둔위(엉덩이 위치, 역아라고도 합니다)일 경우, 제왕절개가 선택될 가능성이 높아요.

 

인큐베이터에 들어가는 조건, 언제 나올 수 있는지?

임신 34주가 되기 전에 태어난 조산아 중 체중 1.5kg 미만의 아기는 인큐베이터를 이용합니다.

그리고 임신 주수로는 34주 이상, 체중이 1.8kg 이상이 되어

아기가 스스로 체온 조절을 할 수 있을 때에 인큐베이터에서 나오게 됩니다.

 

함께보면 좋을글입니다.

↓ 임신중독증이란? 원인과 치료에 대해서 알아봐요 ↓ 

임신중독증이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