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발전합니다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과 해설, 전하고자 하는 의미

by 한고양 2024. 12. 27.
반응형

 

신묘장구대다라니의 원문과 해설

 

1.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가장 거룩한 관세음보살님 귀의합니다>

2.나막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사다바야 마하 사다바야마하가로 니가야
<거룩하신 관세음보살님 대자대비하신 관세음보살님께 귀의합니다>

3.옴살바바예수 다라나가라야 다사명 나막까리다바 이맘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우주 본질 일체의 공포로 부터 지켜 주시는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님께 귀의하여 거룩하신 위신력이 펼쳐집니다.>

4.니라간타 나막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관세음보살님의 근본심으로 돌아 가옵니다>

5.살발타 사다남 수반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모두를 이롭게 하는 경지를 성취할 것이며, 지고의 최고의 행운의 경지에 올라 일체 이 세상에 출현한 중생들을 정도로 이끌어 청정공덕의 길로 나아가겠습니다>

6.옴 아로계 아로가 마지로가 지가란제 혜혜하례
<옴, 통찰자이시며 지혜의 존재이시며 초월자이신 관세음이시여, 끊임없이 정진하겠나이다, 따르겠나이다>

7.마하모지사다바 사마라 사마라 하리나야
<대보살님이시여, 기억해 주소서, 항상 마음에 새겨 주소서>

8.구로 구로 갈마 사다야 사다야 도로도로 미연제 마하미연제 다라다라
<속히 악업을 그치겠나이다. 위대한 승리자이신 관세음이시여, 항상 우리를 기억해주소서>

9.다린나례 새바라 자라자라 마라 미마라 아마라 몰제 예혜혜
<옹호자이시며 자재자이신 관세음이시여,일체 번뇌로 부터 해탈하신 관세음이시여,어서 빨리 강림하소서>

10.로계 새바라 라아 미사미 나사야 나베 사미사미 나사야 모하자라 미사미 나사야
<세간의 자재자이신 관세음이시여, 탐욕의 독심을 잠재워주소서, 진심의 독심을 잠재워 주소서, 치심의 독심을 잠재워주소서>

11.호로호로 마라호로 하례 바나마 나바 사라사라 시리시리 소로소로 못쟈못쟈 모다야 모다야
<관세음이시여, 공포를 제거하여 주소서, 속히 제도하여 주소서, 나아가게 하여 주소서, 깨달음을 얻게 하소서>

12.매다리야 니라간타 가마사 날사남 바라 하라나야 마낙 사바하 싣다야 사바하
<관세음이시여, 어여삐 여기시어 애욕을 파하도록 힘을 주소서, 성취케 하소서>

13.마하 싣다야 사바하
<대성취존이시여, 성취케 하소서>

14.싣다유예 새바라야 사바하
<요가자재이시여, 성취케 하소서>

15.니라간타야 사바하
<청경존이시여, 성취케 하소서>

16.바라하 목카싱하 목카야 사바하
<동물을 제도키 위해 동물 모양을 한 관세음보살이시여, 성취케 하소서>

17.바나마 하따야 사바하
<연꽃을 지니신 관음이시여, 성취케 하소서>

18.자가라 욕다야 사바하
<큰 바퀴를 드신 관음이시여, 성취케 하소서>

19.상카섭나녜 모다나야 사바하
<법소라음으로 깨닫게 하시는 관음이시여, 성취케 하소서>

20.마하라 구타다라야 사바하
<큰 병(甁)을 지니신 관음이시여, 성취케 하소서>

21.바마 사간타 이사시체다 가릿나 이나야 사바하
<오른쪽 어깨에 검은 서상을 하신 관음이시여, 성취케 하소서>

22.먀가라잘마 이바사나야 사바하
<호랑이 가죽 옷을 두른 관음이시여, 성취케 하소서>

23.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막알야 바로기제 새바라야 사바하
<귀의 하옵나니 관음대성존이시여, 성취케 하소서>

 

 

출처: 대한불교 조계종 용문사

용문사 홈페이지 바로가기

 

 

신묘장구대다라니를 통해 우리 불교에서 전하고자 하는 의미

 

 

신묘장구대다라니는 우리 불교에서 보리심을 일으키고, 모든 중생의 고통을 없애며, 공덕을 쌓아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열어주는 강력한 주문으로 해석됩니다. 우리나라에서 전해지는 해석은 대개 이 다라니의 보편적이고 구체적인 효용과 의미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아래는 한국 불교에서 전하고자 하는 신묘장구대다라니의 핵심적 해석입니다:

1. 모든 중생을 구제하는 힘

신묘장구대다라니는 관세음보살의 대자대비를 담고 있으며, 중생의 모든 고통을 제거하고 안락을 주는 주문으로 여겨집니다. 이를 통해 중생은 어리석음을 벗어나고 지혜로운 삶을 살게 된다고 믿습니다.

2. 업장 소멸

이 다라니는 과거와 현재의 모든 업장을 소멸시킨다고 전해집니다. 업장이란 우리가 지은 나쁜 업으로 인해 생겨나는 고통과 장애를 의미합니다. 이 주문을 외우고 진심으로 수행하면 이러한 업장이 소멸하고 청정한 상태로 나아갈 수 있다고 합니다.

3. 보리심(깨달음의 씨앗)을 일으킴

신묘장구대다라니는 단순히 고난을 해결하는 것을 넘어서, 궁극적으로 깨달음으로 나아가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보리심을 일으켜 대승불교의 이상인 자비와 지혜를 실현하도록 돕는 중요한 수단으로 여겨집니다.

4. 관세음보살의 공덕을 나누다

이 주문은 관세음보살의 지혜와 자비가 응축된 언어로, 이를 외우는 사람에게 보살의 공덕이 전해져 보호받고 번영한다고 믿습니다. 따라서 신묘장구대다라니를 외우는 것은 단순한 수행이 아니라, 보살의 가르침과 힘을 직접적으로 경험하는 방법으로 여겨집니다.

5. 집중과 마음의 안정

신묘장구대다라니는 발음과 리듬이 특유의 진동을 가지고 있어, 이를 반복적으로 외우면 마음이 고요해지고 평온해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현대인들에게는 마음을 집중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수행법으로도 권장됩니다.

6. 회향과 보시의 정신

우리 불교에서는 신묘장구대다라니를 통해 얻은 모든 공덕을 개인적으로만 축적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 회향함으로써 함께 행복해지는 길을 열어야 한다고 가르칩니다. 이는 대승불교의 핵심 정신인 "나와 남의 구별 없이 함께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길"을 반영합니다.

7. 끊임없는 수행과 정진

신묘장구대다라니는 단순히 외우는 것만으로 효과가 있다고 믿기보다는, 이를 마음속에서 간절히 염하고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정진의 도구로 사용해야 한다고 합니다. 수행을 통해 자신과 타인의 삶을 변화시키는 적극적인 실천의 의미가 강조됩니다.

8. 소원 성취

현세에서의 문제를 해결하고 소원을 성취하는 힘이 있다고도 전해지지만, 이는 단순히 개인적인 욕망의 충족이 아니라, 바른 소원을 통해 모든 중생의 이익을 위한 방향으로 나아가게 합니다.

 

결론적으로, 신묘장구대다라니는 우리 불교에서 자비와 지혜를 통해 중생을 구제하고, 업장을 소멸하며, 깨달음의 길을 가게 하는 중요한 수행법으로 여겨집니다. 주문을 외우는 것은 단순히 언어를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관세음보살의 가르침과 함께 마음의 평화와 자비를 실현하는 적극적인 실천의 방식으로 이해됩니다.

 

금강반야바라밀경 해석과 해설

반응형